[Spring] 1년 전 얼레벌레 탈출 IoC와 DI를 이해 (230624)

작년 3월, 4학년 1학기가 시작됐다.

컴공이지만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한 나는 선배들 조언에 일단 백준을 풀기 시작했고 더불어 무작정 스프링을 공부하고자 했다.

 

부끄럽지만 학교 전공 수업 외에는 한 번도 따로 개발 공부를 해본 적이 없었다. 그나마 학부생 연구원 하면서 딥러닝 찔러본 게 다였다.

맡은 일은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하는 스타일이지만 사실 개발에 정을 붙이진 못했다.

 

인프런에서 유명하신 분의 스프링 시리즈를 결제했다.

개강 첫날 도서관에 간 기억이 난다. 이게 4학년이지 하면서 ㅋㅋ

 

인텔리제이 서버 톰캣 500 에러 어쩌구.. 웹 개발을 해본 적이 없어서 처음에는 개발 환경 설정하다가 정말 때려칠 뻔했다.

그렇게 객체지향이니 싱글톤이니 이해가 되면서도 뭔가 이해가 안되는,

실습을 하고 있지만 강의를 보지 않으면 애노테이션 하나도 제대로 가져다 쓸 수 없는,

점점 강의를 듣고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아닌, 그냥 따라 치기를 하고 있는

그런 얼레벌레 공부를 하고 있었다.

 

그래도 2학기 시작 전까지 잘못된 방법으로 매일 꾸역꾸역 공부를 했다.

 

그리고 폭풍 같은 2학기와 겨울방학을 보내고...

23년 상반기를 보내고...

 

작년 여름보다는 나름, 아니 적어도 n배는 성장한 올해 여름 다시 스프링 맛보기 공부를 시작했다.

좀 오래된 강의긴 하지만 나에게 잘 맞는 거 같고 (내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말 찬찬히 설명해 주신다)

오늘 스프링 첫 강의를 들으며 IoC와 DI, 그리고 그놈의 @ComponentScan, @Component, @Autowired 등을 이해했다.

 

뭘 알지도 못하고 끄적여둔 지난 포스트들을 보니 이제야 하나씩 이해가 된다.

엉망진창일지라도 내가 한 일은 역시 다 도움이 된다^-^

 

아직 갈 길은 멀고 극히 일부를 배운 것이지만,

그래도 나에겐 큰 의미가 있는 배움이었다.

 

이제 계속하자!

 

 

https://ssoyeong.tistory.com/15

 

[boostcourse] 3.7. Spring Core - FE

1. Spring이란? - Spring Framework. JAVA 기반의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원하는 부분만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가 잘 되어있음 - 가벼운 솔루션. 경량 컨테이너로 자바 객체를 담고

ssoyeong.tistory.com

 

https://velog.io/@ssoyeong/Spring-Spring-Bean%EC%9D%B4%EB%9E%80

 

[Spring] Spring Bean이란?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Bean이라고 한다.직접 new를 이용하여 생성한 객체가 아니라, Spring에 의하여 생성되고 관리되는 객체이다.ApplicationContext.getBean()과 같은 메소드를 사용하

velog.io